기획 루틴이란? 거창하게 '기획 루틴' 이라는 말을 붙였지만, 새로운 서비스 (주로 사이드 프로젝트) 를 기획할 때 내가 사용하려고 작성했다. 문제점을 파악하고 서비스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담았고, 최대한 놓치는 부분이 없도록 꼼꼼히 신경썼다. 그리고 체크박스 형태로 구성하여 기획을 하면서 놓친 항목은 없는가 용이하도록 제작했고, 사람에 따라 모호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체크박스 설명문을 보충하기 위한 예시도 작성했다. (허구의 예시이니 내용은 참고하지 말길 바란다..) 내가 작성한 템플릿 원본의 링크는 글 최하단에 남겨두려고 하니 필요한 사람은 한 번 들어가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비영리적 목적으로는 사용도 좋지만 댓글은 남겨주시길 바란다.. 영리적 목적은 감사히 거절한다.) 1. 아이디어 구상 및 논..
'내 근처' 의 구성요소 '내 근처' 탭을 뜯어보기 위해 먼저 탭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생각해보자. 단순히 UI를 기준으로 하는 구성요소가 아닌, 이 서비스 자체를 이루는 구성요소를 생각해보자. 아마 사용자, 사업자, 알고리즘(탭을 구성하는 소제목들 및 사업체 글 정렬) 의 3가지 요소로 구성 될 것이다. 그렇다면 이 서비스는 각 구성요소로 부터 어떤 정보를 받아 어떻게 가공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지 한번 쭉 나열해보고 가능성을 생각해봤다. 1. 사용자 1-1. 검색이력 / 거래기록 / 방문기록 등 서비스 이용 기록 - 사용되지 않음 당근의 개인정보처리방침에 근거하여 추론해보았다. 이는 '서비스 이용 시 생성되어 수집되는 정보' 로 이용자의 관심, 성향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상품추천서비스(광고포함) 을 ..
'내 근처' 서비스란? 우선 시작하기에 앞서 '내 근처' 서비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있다. '동네 가게 모음집' 이다. 아이들이 학교 혹은 학원에 있는 시간 동안 전업주부를 하시는 부모님들이 자주 모이는 아파트 상가의 조그만 카페부터 세계적인 (2021년 기준 35개국에 8,160개의 매장을 보유한) 베스킨라빈스 까지 '우리 동네' 에 있는 '가게' 라면 모두가 '내 근처' 서비스의 또 다른 고객이다. 이제 '내 근처' 가 어떤 서비스인지 알았으니, 이 서비스의 등장 배경과 언제 등장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당근은 중고거래 앱 아닌가요? 동네 가게를 왜 모아서 보여주나요? 당근이 '중고 거래'를 선택한 이유는 이미 너무 유명해진 이야기라 생략했다. 당근은 두 공동 창업자님들의..